
테더(Tether, USDT)는 세계 최초의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된 암호화폐입니다.

이는 가격 변동성이 큰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항상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테더는 2014년 비트파이넥스 소유 기업인 Tether Ltd에 의해 출시되었으며,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됩니다(비트코인, 이더리움, 트론 등).
특징 및 역할
가격 안정성: 테더는 1 USDT = 1 USD로 고정되어 있어 암호화폐 거래 시 리스크 헷지 및 자산 이동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사용처: 암호화폐 간 거래, 법정화폐 대체,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준비금: 테더는 발행된 USDT만큼의 준비금을 미국 국채 등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4.
한국에서의 테더 가격 상승 요인
최근 테더 가격은 국내 거래소에서 1,500원을 넘어서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원/달러 환율 급등과 김치 프리미엄(국내 투자자 과열로 인한 가격 차이)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변화로 원화 약세가 심화되면서 국내 테더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논란 및 한계
테더는 준비금 투명성 문제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 규제나 환율 변동에 따라 국내외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테더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투자 시 환율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2
한국에서 테더(USDT)에 투자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규제 리스크
한국 정부는 스테이블코인, 특히 테더를 외국환거래법상 규제 대상으로 포함할 계획입니다. 이로 인해 거래소 간 송금 및 환테크 전략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준비금 투명성
테더 발행사의 준비금에 대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3자 감사를 통해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여전히 완벽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3. 환율 변동
테더는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되므로, 원/달러 환율 변화가 투자 수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유리하지만, 하락 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1.
4.
거래소 수수료 및 네트워크 선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따라 테더 전송 시 추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래소와 네트워크 선택에 신중해야 합니다.
5. 김치 프리미엄
국내외 거래소 간 가격 차이를 활용한 전략(김치 프리미엄)에는 전송 시간, 수수료, 규제 등의 변수로 인해 리스크가 따릅니다.
6. 중앙화 리스크
테더는 중앙화된 발행사가 관리하므로, 탈중앙화의 장점을 누리기 어렵고 발행사의 운영 리스크에 노출됩니다.
7. 낮은 투자 수익률
안정성을 제공하는 대신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자산입니다. 이는 단기적 자산 보관 용도로 적합하지만 장기 투자에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테더 투자는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위의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해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해외가상거래소 SMX (1) | 2025.04.14 |
---|